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계절에 따른 에너지 빈곤 변화

연료 빈곤(fuel poverty), 에너지 빈곤(energy poverty)은 연료나 에너지의 절대적 소비량이 일정치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이러한 빈곤의 정도를 우리나라의 공식 통계 수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2003년부터 전국의 2인이상 가구(비농어가)의 수입과 지출을 추적하고 있는 가계동향조사(통계청) 자료를 통해 소득 경상소득에서 연료 또는 에너지 소비에 쓰는 지출액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번에는 특별히 분기별로 에너지 빈곤의 정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추운 겨울의 난방 수요 충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연료 빈곤과 무더운 여름의 냉방 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에너지 빈곤의 특성을 가계동향조사 자료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해 보았다. 가계동향조사에 포함된 ‘소득10분위별 가구당 가계수지표’는 전국 표본 가구를 월소득 수준에 따라 10등분하여 수입과 지출을 통계값으로 보여준다. 여기에는 수입 항목으로서 경상소득이 있고, 지출항목 중에 연료나 에너지와 관련한 비용으로는 ‘연료비’(일반가구에서 조명, 냉난방 및 취사 등 일상가사를 영위하기 위해 지출하는 연료관련 비용; 전기료, 각종 연료[도시가스, LPG, 등유, 경유 등] 비용, 공동주택난방비 등 포함; 이하 “주거용 연료비”)와 ‘운송기구 연료비’가 있다.
우선, 통계가 시작된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분기별 에너지(연료) 빈곤의 평균치를 확인해 보자.
우리나라의 평균적인 가구는 4분기 중 가장 추운 1분기에 월소득의 4.4%를 주거용연료비로 썼다. 이에 비해 가장 소득이 적은 1분위 가구는 경상소득의 17.7%를 연료 구입에 써야 했다. 소득 상위 10%에 해당하는 10분위 가구는 연료비에 소득의 2.3%가 필요했다. 운송기구연료비까지 더한 전체 연료비의 비중은 1분위 가구 월소득의 22.8%에 달했다. 평균 가구(7.7%)나 10분위 가구(4.8%)에 비해, 최저 소득층의 가계수지에 연료비의 부담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이러한 에너지 빈곤은 기온의 변화와 경제 상황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받을까? 이 궁금증에 답하기 위해서, 2003년에서 2016년 사이의 전국 월평균 기온 자료를 분석했다. 4분기 중 우리나라의 겨울과 가장 많이 겹치는 1분기(1~3월)가 가장 추웠던 해는 2011년(1분기 평균 기온 0.6 °C), 2005년(1.0 °C), 2012년(1.3 °C)이었다. 1분기가 가장 덜 추웠던 해는 2007년(3.9 °C), 2014년(3.6 °C), 2009년(3.4 °C)이었다. 가장 추웠던 3년의 1분기에는 1분위 가구의 주거용 연료비가 경상소득의 20.4%를 차지했다. 1분기가 가장 덜 추웠던 3년 동안 월소득 하위 10% 가구의 경상소득 대비 주거용연료비 비중은 17.5%였으므로, 추위가 저소득층의 가계에 큰 부담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가장 소득이 많은 가구(10분위)는 가장 추울 때(소득의 2.5%)나 가장 덜 추울 때(소득의 2.3%)나 주거용연료비 부담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 운송기구연료비까지 포함하면 저소득층의 연료비 부담은 더 늘어난다. 가장 추웠던 3년은 1분기에 경상소득의 26.0%까지 연료비 전체 지출이 늘어났다.
경제 사정에 따른 에너지 빈곤은 국제금융위기의 영향이 본격화한 2009년부터 3년간과 그 이전 3년(2006~2008년)의 통계값을 비교했다. 우선 경상소득에서 주거용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자. 경제위기 이전에는 1분위 가구가 소득의 16.7%를 주거용연료비에 썼는데, 경제위기 이후에는 그 비중이 20.8%로 증가했다. 이에 비해 10분위 가구의 소득 중 주거용연료비 비중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경제위기 이전 2.3%, 이후 2.4%).
운송기구연료비까지 더한 전체 연료비의 경상소득 중 비중은 당연히 저소득층에 더 큰 부담이 되었다. 아래 그림을 보면, 1분위 가구에 전체 연료비는 경제위기 이전에도 월소득의 22.7%를 차지했지만 경제위기 이후에는 25.9%로 더 증가했다. 10분위 가구는 전체 연료비 비중이 경제위기 이전(경상소득의 5.3%)보다 이후(4.8%)에 오히려 감소했다.
지금까지의 단순한 통계 수치 비교로는, 겨울의 추위와 경제 위기(경상소득 감소)는 비슷한 정도로 저소득 가구의 연료비 부담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에너지빈곤 완화를 위한 정책이나 사회 구성원의 자발적 행동 변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참고자료

국가기후데이터센터. (2018). 다중지점 통계. 서울: 기상청. http://sts.kma.go.kr/jsp/home/contents/statisticsdivision/newStatisticsDivisionSearch.do?MNU=MNU

통계청. (2017). ‘소득10분위별  가구당 가계수지 (전국,2인이상)’. 가계동향조사. 대전: 통계청.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L9H008

박훈(기후변화행동연구소 연구위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비트코인과 전력소비 문제

비트코인으로 인한 전력소비가 논란이 되고 있다. 비트코인 채굴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이 현지의 추세로 증가한다면 2019년 7월이면, 미국 전체의 전력소비량보다 많아진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기상학자인 에릭 홀사우스(Eric Holthaus)는  2017년 12월 환경전문 뉴스 사이트 그리스트에 올린 논문에서 “현재의 추세대로면 2020년 2월에 지금의 세계 전체 소비량 만큼의 전력이 비트코인 채굴에 사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홀사우스는 비트코인 채굴의 상당부분이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문제 중의 하나라고 지적한다. 중국은 전력의 72%를 석탄발전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캐기 위해 엄청난 규모의 석탄을 태우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앤트풀(22.4%), BTC닷컴(17.1%) 등 최근 비트코인 채굴을 가장 많이 한 상위업체는 모두 중국계 기업이다. 디지털 통화 전문 웹사이트인 디지코노미시트의 전망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매년 2,316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지구의 대기에 내뿜고 있다. 디지코노미스트가 발간한 '비트코인 에너지 소비 지수(Bitcoin Energy Consumption Index')에 따르면 2018년 2월 5일을 기준으로 비트코인 채굴을 위해 1년간 약 47.26테라와트의 전기가 소비된다고 한다. 이는 미국의 437만가구가 사용하는 전력과 맞먹는 수치다. 이라크에서 1년에 소비하는 전체 전력량(44.4TWh)보다 많다. 항목 수치 2018 년 2 월 8 일 비트코인의 연간 전력소비 추정치 (TWh) 37.17 47.26 연간 세계 채굴 수익 $17,242,889,158 $7,740,678,372 연간 세계 채굴 비용 추정치 $1,858,498,960 $2,362,997,513 비트코인의 전기소비량과 가장 유사한 나라 Qatar Singapore 지금까지 사용된 전력 추정치 (KWh) 101,835,559 ...

2월 첫째 주 해외뉴스: 에너지

2월 첫째 주 해외뉴스: 에너지 2017년 청정에너지 투자 3,337억 불에 이르러  작년 미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들이 석탄 발전 지원 쪽으로 돌아서기는 했지만, 재생에너지 투자는 계속 증가했다고 블룸버그 신에너지 금융팀이 새로운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 그룹은, 2017년 풍력과 태양광 등 전 세계 청정에너지 투자는 3,336.7억불로 이전 해에 비해 3% 증가하고 최고 기록인 2015년에 비해서는 7% 아래라고 밝혔다. 중국이 이중 40%에 해당하는 1,330억불을 차지했고 2016년보다 24% 많이 투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석탄과 원자력 발전을 촉진하는 쪽으로 방향을 돌렸고 화석연료 사용에 유리하게 발전소의 탄소 배출 정부 규정을 완화하였는데도, 미국은 신재생 에너지에 570억불을 투자하여 2위를 차지하여 연률 1%의 증가를 기록하였다. http://www.powermag.com/report-clean-energy-investments-hit-333-5-billion-in-2017/ 재생에너지 2020년에 화석연료보다 저렴  재생에너지가 지금 당장 화석연료 전체를 완전히 대체하지만 석탄 대신 태양광 및 풍력으로의 전환은 움직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영국은 2017년에 태양광과 풍력으로부터 석탄의 두 배에 달하는 전기를 생산했다.  미국은 작년에 새로이 추가된 발전 용량의 95 퍼센트를 태양광과 풍력으로 채웠으며, 또 이는 화석연료 발전소의 폐쇄의 부분적인 원인이 되기도 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가 새로 발표한 ‘2017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비용은 2020년 이내에 화석 연료와 같거나 적어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G20 국가에서의 KWh당 현재 비용은 0.05 ~ 0.17 달러 사이인데, 2020년까지는 0.03 ~ 0.10 달러가 될 것이며, 특히, 육상 풍력과 태양광(photo-voltaic) 발전 비용은 2019년까지 0....